두산 밥캣의 맥스 컨트롤 기술. 제공=두산
두산 밥캣의 맥스 컨트롤 기술. 제공=두산

두산그룹이 결국 ‘캐시카우’ 두산인프라코어를 매각하며 회생에 가속 페달을 밟는다. 일각에서는 밥캣까지 매각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상황, 두산그룹 해체를 막기 위해 주요 사업을 남겨줘야 한다는 비판 여론도 적지 않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은 크레디트스위스를 인프라코어 매각 주간사로 선정했다.

매각 대금은 6000억~8000억 수준으로 추정된다. 두산중공업이 보유한 지분 36.27%에 대해서다. 주식 가격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합친 것이다.

일각에서는 인프라코어를 투자회사와 사업회사로 분할해 파는 방식도 예상하고 있다. 두산밥캣을 자회사로 보유하기 위한 방법이다.

두산중공업의 LNG 가스 터빈. 제공=두산중공업
두산중공업의 LNG 가스 터빈. 제공=두산중공업

앞서 두산은 두산건설을 매각하기 위해 부실 부분을 분리하는 조치를 시행한 바 있다. 두산 건설에서 우량 사업을 팔겠다는 의미다.

업계에서는 두산이 두산솔루스 등 매각에 난항을 겪으면서 추가 자구책을 내놓은 것으로 보고 있다.

두산이 두산솔루스를 1조원에 팔려고 했지만, 정작 구매자들은 5000억원대로 절반 가까운 의견 차이를 보였기 때문.

그 밖에 두산타워를 비롯한 부동산을 매각하고 나서도 자구안 목표인 3조원을 채우기 어렵다는 주장이 나오자, 결국 추가 매각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단, 두산이 인프라코어를 쉽게 매각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적지 않다.

일단 인프라코어 실적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밥캣을 제외한 탓에, 매각 내용이 ‘속 빈 강정’일 수 있어서다.

정동익 KB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건설기계 연결 영업이익의 62.9%를 차지했던 두산밥캣을 분리할 경우 두산인프라코어는 매물로서 매력이 떨어진다"며 "단시일 내 매각이 성사될 가능성이 매우 낮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별도 차입금이 지나치게 많고, 중국 법인 지분 매각과 관련해서도 소송이 이어지고 있어 투자자들의 구미를 당기기 어려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 때문에 밥캣까지 내놔야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돈이 되는 매물을 내놔야 하루ᄈᆞᆯ리 자구안을 완성할 수 있다는 것.

그러나 일각에서는 채권단이 주요 계열사까지 매각하도록 지나치게 압박하고 있다며, 두산이 계열사를 팔고난 후 수익성도 고려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두산이 인프라코어와 두산솔루스, 밥캣까지 팔고나면 중공업만이 남는 상황, 주력 사업으로 꼽히는 LNG 가스 터빈 기술은 아직 시장 경쟁력이 낮은 편이고, 두산 스스로 미래 동력으로 지목한 친환경 사업은 시장성이 현저히 낮다.

한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와 맞물려 흥행이 잘 안되고는 있지만, 두산솔루스나 인프라코어는 충분히 매각할만한 가치를 가진 회사"라며 "밥캣 등 캐시카우를 모두 팔아치우면 두산그룹은 결국 해체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고, 막대한 경제적 타격을 입힐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룩(MediaLook)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