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재건축 0.02%, 5주 연속 올랐으나 상승률은 ‘뚝’

사진=부동산114.
사진=부동산114.

 

지난주 정부가 3기신도시 5만8000호와 서울 도심에서 1만호의 추가 공급계획을 발표한 후 수요자 관망세가 심화된 분위기다.

공급 정책 발표 후 서울과 신도시를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소폭이지만 하락폭이 더 커지는 모습이다. 서울 재건축도 송파구 재건축 가격이 다시금 마이너스(-0.12%)로 전환되면서 상승폭이 크게 축소됐다.

1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주 서울 아파트값은 0.02% 떨어져 26주 연속 하락했다. 특히 이번 주에는 지난해 서울 집값 상승을 이끌었던 마포(-0.35%)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서울 재건축은 0.02% 변동률로 5주 연속 올랐지만 전주(0.09%) 대비로는 부진한 수치를 나타냈다. 신도시는 0.03% 하락해 낙폭이 커졌고 경기ㆍ인천 매매가격은 -0.01% 변동률로 지난주와 동일했다.

한편 전세가격도 마이너스 추세가 계속 이어졌으며 서울이 0.01%, 신도시가 0.03%, 경기ㆍ인천이 0.05%씩 각각 떨어졌다.

매매가를 보면 서울은 ▼마포(-0.35%) ▼강북(-0.03%) ▼송파(-0.03%) ▼강서(-0.02%) ▼서초(-0.02%) ▼영등포(-0.02%) ▼성북(-0.01%) 순으로 떨어졌다.


마용성(마포∙용산∙성동)의 대장주로 통하던 마포래미안푸르지오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매수문의가 장기간 끊기면서 그 동안 잘 버티던 랜드마크 단지도 매물이 쌓이는 분위기다.

또한 지역 내 매물이 늘면서 상암동 일대 매매가격도 조정됐다. 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가 5000만원 떨어졌고, 상암동 월드컵파크7단지가 1000만원-5000만원 하락했다.

강북은 미아동에 위치한 경남아너스빌과 한일유앤아이가 500만원-1000만원 떨어졌다.

송파는 급급매 소진 이후 추격 매수세가 유입되지 못하면서 방이동 대림가락, 송파동 삼익, 문정동 건영 등 재건축 추진 단지들을 중심으로 1000만원-5000만원 하락했다.

반면 △강남(0.04%) △은평(0.02%) 등은 상승했다. 강남은 대치동 은마아파트의 상승 영향으로 한보미도맨션이 2,000만원-2,500만원 뛰었으며, 새 아파트 프리미엄 효과로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가 1,500만원 올랐다.

신도시는 ▼광교(-0.13%) ▼평촌(-0.12%) ▼일산(-0.03%) ▼중동(-0.03%) ▼분당(-0.02%) ▼판교(-0.02%) 등 신도시 대부분이 하락했다.

3기신도시 발표 이후 일산과 파주운정신도시를 중심으로 우려감이 높은 상황이지만 거래 자체가 끊긴 분위기다. 광교는 이의동 광교e편한세상과 광교자연앤힐스테이트가 1000만원-1500만원 떨어졌으며, 평촌은 평촌동 초원대림이 1,000만원 하락했다.

일산은 일산동 후곡15단지건영과 주엽동 강선14단지두산, 장항동 호수5단지청구 등이 250만원 -1000만원 조정됐다.


경기ㆍ인천은 ▼의왕(-0.15%) ▼광명(-0.07%) ▼평택(-0.06%) ▼고양(-0.02%) ▼용인(-0.02%) ▼하남(-0.02%) ▼수원(-0.01%) ▼시흥(-0.01%) 순으로 떨어졌다. 의왕은 대규모 입주여파가 계속되는 분위기다.

포일동 포일자이, 의왕내손e편한세상 등이 500만원 하락했다. 광명은 하안동 주공4∙12단지가 250만원-1,000만원 떨어졌다. 평택은 군문동 주공1단지와 고덕면 영화블렌하임이 500만원 -1100만원 하락했다.

전세가를 보면 우선  서울 전세가격은 ▼강동(-0.17%) ▼강북(-0.11) ▼성북(-0.09%) ▼동작(-0.08%) ▼영등포(-0.07%) ▼금천(-0.01%) 순으로 떨어졌다. 강동은 오는 6월부터 하반기까지 1만가구 이상의 대규모 입주를 앞두고 있어 전세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명일동 신동아와 우성, 한양, 고덕현대, 명일삼환 등이 1,000만원-2,000만원 빠졌다. 강북은 미아동 한일유앤아이와 경남아너스빌이 500만원-2,500만원 떨어졌다. 성북은 종암동 종암2차SK뷰가 500만원-2,000만원 하락했다.

반면 서대문(0.10%) 서초(0.03%) 강서(0.03%) 등은 올랐다. 서대문은 북아현동 e편한세상신촌과 천연동 천연뜨란채가 1,000만원 상승했다.

신도시는 ▼평촌(-0.17%) ▼중동(-0.11%) ▼일산(-0.07%) 순으로 떨어졌다. 주변 지역의 입주여파로 전세가격 상승 반전이 쉽지 않은 분위기다. 평촌은 평촌동 삼성래미안과 초원대림이 1,000만원-1,500만원 하락했다. 중동은 중동 은하주공1∙2단지가 1000만원, 일산은 장항동 호수5단지청구와 호수1단지대우가 500만원-2,000만원 떨어졌다.


경기ㆍ인천은 ▼의왕(-0.24%) ▼과천(-0.21%) ▼양주(-0.16%) ▼수원(-0.15%) ▼안양(-0.15%) ▼하남(-0.14%) ▼용인(-0.11%) ▼시흥(-0.09%) ▼구리(-0.08%) 순으로 하락했다. 의왕은 오전동 무궁화선경과 개나리쌍용이 500만원 떨어졌다. 과천은 원문동 래미안슈르가 500만원 빠졌다. 반면 △광명(0.12%) △김포(0.02%) 등은 상승했다. 광명은 하안동 e편한세상센트레빌이 1,000만원 올랐다.


최근 서울 재건축의 상승 반전으로 바닥을 다진 것 아니냐는 분위기가 감지됐지만, 정부의 3기신도시와 서울 도심에서의 공급 확대 발표 이후 분위기 반전이 어려워진 상황이다.

정부가 발표한 공급확대 정책으로 관망세가 심화될 가능성이 높고, 입주물량 증가로 수도권 전세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수요자가 내 집 마련을 서두를 필요도 없는 상황이다.

특히 서울 강북권 시세 상승을 이끌며 상징성이 높던 마포구의 하락세는 서울 비강남권 일대에 추가적인 실망 매물을 불러올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룩(MediaLook)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